사망한 파병 군인, 600명서 2000명으로 / 국정원 "북한, 러시아에 6000명 추가 파병…전사자는 2000명 추…
페이지 정보

본문
사망한 파병 군인, 600명서 2000명으로 /
국정원 "북한, 러시아에 6000명 추가 파병…전사자는 2000명 추산"
러시아 쿠르스크 전선에 배치된 북한군들의 모습. 조선중앙TV는 북한군의 전투 영상 기록물을 지난달 31일 공개했다. 조선중앙TV·연합뉴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된 북한군 사망자 수가 앞서보다 3배 이상 늘어난 2000명으로 추산됐다. 북한은 그럼에도 추가 파병을 계속하며 전쟁 장기화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정보원은 3일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 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보고했다. 정보위 여당 간사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 야당 간사 이성권 국민의힘 의원이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전한 바에 따르면, 북한이 3차 파병으로 계획한 6000명 중 전투공병 1000명이 최근 러시아 현지에 도착한 것으로 파악됐다. 현재까지 북한이 공개한 전사자는 350명 정도지만, 국정원이 우방국과 전황을 종합 검토한 결과 현재 사망자는 2000여명으로 재추산됐다.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국정원이 지난 4월 정보위에 보고한 전사자 규모(최소 600명)보다 3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이 가운데 북한은 오는 10월 10일 당 창당 80주년에 대비해 병력 1만 명 이상을 동원한 대규모 열병식을 연습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10만여 명의 대규모 집단체조도 5년 만에 실시할 전망이다. 9차 당대회도 본격 준비 중이다. 박 의원은 "9차 당대회에서 새 시대 새 전략이라는 이름이나 슬로건, 그런 방향의 새 전략노선을 채택하고 발표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시기는 내년 초"라고 전했다. 또 "김 위원장은 정주년(5·10년 단위로 꺾어지는 해) 당 창건 행사를 마친 후 당 대회에서 새로운 전략 노선을 발표한 경우가 몇 차례 있었다"며 "9차 당 대회에서 새로운 전략 노선을 채택하고 발표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전망했다.
국정원은 북한이 전반적으로 경기 침체 국면에서는 벗어난 것으로 봤다. 곡물 상황이 2년 연속 평균치인 460만 톤을 상회해 약 480만 톤이 생산될 전망이며, 무역은 코로나19 이전 약 90% 수준을 회복했다. 국정원은 "전체적으로 침체 국면에서 벗어났고 중러와 경제협력을 활성화해 외화 물자 확보 노력을 강화 중"이라고 보고했다.
북한이 지난해부터 남한에 대해 적대적인 입장을 고수해 온 만큼, 남북관계 회복은 당분간 어려울 전망이다. 국정원은 "북한은 방중을 계기로 중러와의 관계를 밀착시켜 외교 공간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대남 정책 전환이나 재조정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고, 단시일 내 남북관계 호응 가능성이 낮다고 본다"고 밝혔다. 다만 일부 태도 변화의 여지도 감지된다는 분석이다. 박 의원은 "북한은 다양한 경로로 우리의 대북정책에 상당히 촉각을 세우면서도, 한국의 대북정책 및 접근 시도에 대응하지 말라는 지침을 하달하는 등 남북 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감 확장을 경계하는 정황도 포착된다고 국정원이 보고했다"고 전했다.
유주희 기자 / 서울경제, 2025-09-03
--------------
국정원 "북한, 러시아에 6000명 추가 파병…전사자는 2000명 추산“
여야 정보위 간사, 2일 국회서 '국정원 보고' 브리핑
"북한, 단시일 내에 남북관계 호응할 가능성 낮다"
"경기 침체 국면서 벗어나…중러 협력 활성화 노력"
이종석 국가정보원장이 2일 국회에서 열린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있다. ⓒ연합뉴스
북한이 러시아에 6000명을 추가 파병할 계획이라고 국가정보원은 밝혔다. 이중 전투 공병 1000명이 러시아에 도착한 것으로 파악됐다. 현재까지 러시아에 파병돼 사망한 병사는 2000여명으로 추산된다.
국정원이 2일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보고했다고 야당 간사인 이성권 국민의힘 의원은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이 의원은 "북한이 러시아에 6000명을 3차 파병할 계획이고, 전투 공병 1000명이 러시아에 도착한 것으로 파악됐다"며 "기존 파병군은 후방에서 예비전력으로 주둔 중이며 현지 지도부 교체 추진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1·2차 표창 수여식에서 공개한 전사자는 350명 정도고, 국정원이 지난 4월 정보위에 보고한 전사자 규모는 최소 600명 수준"이라면서 "국정원이 우방과 종합 검토한 결과, 현재 사망자는 2000여명으로 추산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정원은 단시일 내에 북한이 남북관계에 호응할 가능성이 낮다고도 판단했다.
정보위 여당 간사인 박선원 의원은 "북한은 당분간 10월 10일 당 창건 행사와 9차 당대회 두 개의 행사 준비,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중국 방문 계기를 통해 중국과 러시아 관계를 밀착시켜 외교 공간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며 "대남정책 전환이나 재조정 필요성의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전반적인 전반적인 북한 대남기조는 현재 북한과 남한 두 국가가 존재한다는 '2국가론'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면서도 "일부 태도 변화의 여지가 감지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 명의의 연쇄담화를 통해 대남입장이 불변하다고 강조하고 있다"며 "한편으론 전방지역 확성기 방송 중단, 북한 어민 송환 등에 관심과 반응을 보이면서 상황을 관리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다양한 경로로 고위 당국자의 대북발언, 이재명 정부의 고위 당국자의 대북발언, 한미정상회담과 한일정상회담에 대한 정보 획득에 나서고 있다"며 "우리나라 대북정책에 대해 상당한 촉각을 곤두세우는 걸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북한은 한국의 대북정책 및 접근시도에 대해 대응하지 말라는 지침을 하달하는 등 관계 개선에 대한 북한 내부에서의 기대감 확산을 경계하는 모습도 포착되고 있다"고 부연했다.
북한의 당 창건 80주년과 9차 당대회 시기에 대해선 "북한은 10월 10일 양대 정치 행사를 준비 중"이라면서 "당 창건일을 맞아 1만명 이상 동원한 대규모 열병식 연습 중이고, 10여만 명의 대규모 집단체조도 5년 만에 다시 할 전망"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9차 당 대회는 내년 초가 유력하다"며 "행사 개최를 앞두고 자가용 소유 허용하고 파병 전사자 등 민심 관리로 내부 결집을 도모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 경제 상황과 관련해선 “전체적으로 침체국면에서 벗어났고 중국·러시아와의 경제협력을 활성화해 외화·물자확보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며 "곡물 상황이 2년 연속 평균치인 460만톤(t)보다 상회해 약 480만t의 곡물이 생산될 것"이라고 했다.
김주훈 기자 jhkim@dailian.co.kr / 데일리안, 2025-09-02
- 이전글시진핑 左김정은·右푸틴…북중러정상, 66년만 한자리 망루 올라_ 중국 전승절 열병식 공개 / 北京举行中国抗战胜利80周年阅兵 习近平普京金正恩同台亮相 25.09.03
- 다음글광주광역시 ‘병역명문가’, 국가유공자에 준하는 예우받는다 / 병무청, 병역명문가 선양·예우 안내 25.09.0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