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피로감에 우크라이나 여론 급변…70% “협상으로 전쟁 끝내야” / 3년 넘은 러-우 전쟁 끝나나?...미-러-우 3자 정…
페이지 정보

본문
전쟁 피로감에 우크라이나 여론 급변…70% “협상으로 전쟁 끝내야” /
3년 넘은 러-우 전쟁 끝나나?...미-러-우 3자 정상회담 예고
전쟁 피로감에 우크라이나 여론 급변…70% “협상으로 전쟁 끝내야” / AP연합뉴스
러시아와 3년 넘게 전쟁을 치르고 있는 우크라이나에서 협상을 통해 전쟁을 끝내야 한다는 여론이 크게 확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쟁 장기화에 따른 피로감이 누적된 결과로 해석된다.
여론조사기관 갤럽이 7일(현지시간)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9%가 ‘가능한 한 빨리 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을 추진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우크라이나에 거주하는 15세 이상 1000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것이다.
협상을 지지하는 의견은 2022년과 2023년엔 각각 22%, 27%에 그쳤으나 작년에 52%로 급증했다. 올해는 10명 중 7명이 찬성하는 수준으로 올라섰다. 반면 ‘승리할 때까지 계속 싸워야 한다’는 여론은 2022년 73%에 불과했으나 2023년 63%로 떨어졌다. 작년 38%에 이어 올해 24%로 급감했다.
전쟁의 조기 종식을 원하는 여론이 높지만 실제 전쟁이 곧 끝날 것이라는 전망은 회의적인 모습이다. 향후 1년 이내 전쟁이 끝날 가능성이 낮다고 본 응답자는 68%에 달했으며 긍정적으로 본 응답은 25%에 그쳤다.
최대 군사 지원국인 미국에 대한 신뢰도는 크게 떨어졌다. 미국의 리더십을 지지하는 여론은 16%에 그쳤다. 2022년 66%를 기록한 후 2023년 53%, 작년 37%에 이어 급락세를 이어갔다.
다만 미국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평화 협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응답은 70%에 달했다.
우크라이나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와 유럽연합(EU) 가입을 희망하고 있는 가운데, 조기 가입 가능성에 대한 낙관론도 크게 줄었다. 응답자의 32%가 10년 이내 나토 가입을 기대했고 33%는 가입이 절대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 2022년 조사에서는 64%가 10년 이내 가입을 기대했다.
이완기 기자 / 서울경제. 2025-08-08
--------------
3년 넘은 러-우 전쟁 끝나나?...미-러-우 3자 정상회담 예고
3년 넘은 러-우 전쟁 끝나나?...미-러-우 3자 정상회담 예고
3년 6개월째 이어지고 있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내기 위해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 그리고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3자 회담을 엽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간 6일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3국 정상회담이 조만간 열릴 것이라고 예고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오늘 푸틴 대통령과 아주 좋은 대화를 나눴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이 라운드를 마무리하고, 그 여정의 끝을 맞이할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그 여정은 길었고 앞으로도 계속 길겠지만, 곧 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큽니다"
스티브 위트코프 특사가 러시아에서 푸틴 대통령과 만나 종전 방안을 논의한 이후 나온 발표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SNS를 통해 러시아와 매우 큰 진전이 있었다고 평가했고 유럽 동맹국들에도 회담 결과를 공유했습니다.
현지언론은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 주 푸틴 대통령과 직접 만난 뒤 곧이어 젤렌스키 대통령을 포함한 3자 회담을 열 계획이라고 보도했습니다.
다만 AP통신은 아직 회담 일정이 조율되거나 장소가 정해진 것은 아니라고 보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도 휴전 합의를 위한 돌파구가 마련됐냐는 취재진 질문에 “돌파구라고 부르지는 않겠다”고 답했습니다.
이와 관련 젤렌스키 대통령 역시 트럼프 대통령과 대화했다는 사실을 확인한 뒤 전쟁은 끝나야 하지만 '정직한 종전'이어야 한다는 게 자신과 유럽 정상들의 입장이라고 밝혔습니다.
매일 저녁, 뉴스의 현장에서 뵙겠습니다. JTBC 뉴스룸
JTBC 뉴스에 제보해주세요.
전화 : 02)751-6001 | E-mail : jebo@jtbc.co.kr | 카카오톡 채널 : JTBC제보
이한주 기자 / JTBC, 2025-08-07
- 이전글“국민연금 더 받을래요” 군 복무 추납 신청 작년 6174건 ‘역대 최다’ / 연금보험료의 추후납부(추납) 안내(국민연금공단) 25.08.10
- 다음글복지부 “11일부터 하반기 전공의 모집…복귀시 수련 마치고 입영 허용” 25.08.0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